회사 로고KHB파트너스
법률사무소
KHB파트너스 법률사무소
  • 소개
  • 분야
  • 업무 사례
  • 블로그
  • 온라인 상담

카테고리

  • 전체 보기(35)

  • 자문(5)
  • 민사(15)
  • 형사(12)
  • 가사(3)

블로그

KHB파트너스 법률사무소 | 사업자등록번호: 343-19-02080 | 광고책임변호사: 김한빈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56, 1404호

전화번호: 02-2038-4513 | FAX: 02-2038-4520 | E-mail: contact@khbpartners.com

개인정보처리방침 | © 2025 KHB파트너스 법률사무소. All Rights Reserved.

인기 블로그

  • 단순한 '클릭'이 범죄로? 매크로 사용의 법적 위험성
  • 재판연구원 경력이 소송에 미치는 영향: 재판부 시각으로 사건 분석
  • 부모님과 거주 시 양도소득세, '세대 분리'의 진짜 의미와 절세 전략
  • 계약서 작성법: 변호사가 말하는 계약서 필수 검토사항
  • 약식명령 불복 후 정식재판, ‘가납’ 벌금 먼저 내야 할까? 환불 절차까지 총정리
  • 전현무 씨도 곤란하게 한 '돈 빌려달라는 부탁', 만약 빌려준 돈을 받지 못했다면?
  • 답답한 거래처 미수금,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으로 해결하는 법
  • 대출 중도상환수수료, ‘이자’가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의 진짜 의미는?
  • "가해자 재판, 꼭 가야 하나요?" 변호사가 알려주는 '피해자 진술권'의 모든 것
  • 급발진 의심 사고, 보험 처리 가능할까요?

최신 블로그

  • 강제집행 전 재산 처분, 범죄가 될 수 있습니다.
  • 1대1 카톡·문자 욕설은 범죄? 변호사가 알려드립니다
  • 소송 중 상대방 파산 선고 후 파산폐지 시 대응 전략 알아보기
  • 압수수색 도중 발견된 다른 사건의 증거로 처벌될 수 있을까?
  • 약식명령 불복 후 정식재판, ‘가납’ 벌금 먼저 내야 할까? 환불 절차까지 총정리
형사·2025년 08월 30일

당신의 '용서'가 가해자의 면죄부가 되지 않도록: 스토킹 처벌법의 결정적 변화

'용서해 줄게', 그 한마디의 무게 스토킹 피해자가 가장 괴로운 순간 중 하나는, 가해자의 끊임없는 회유와 협박 속에서 ‘합의’를 강요당할 때였습니다. 눈물을 흘리며 사죄하는 가해자, 혹은 그의 가족까지 동원한 압박 속에서 피해자는 결국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히곤 했습니다. 과거의 법은 그 한마디에 너무나 큰 무게를 실었습니다...

형사·2025년 08월 30일

10년의 덫, 두 번째 음주운전 단속에 걸렸다면 알아야 할 모든 것

'이번 한 번만'이라는 생각이 불러온 위기 익숙한 귀갓길, 대리운전 기사를 기다리기엔 너무 늦은 시간. "딱 한 잔 했는데, 집도 가까운데 괜찮겠지. " 이 안일한 생각이 당신을 인생의 큰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습니다...

민사·2025년 08월 28일

급발진 의심 사고, 보험 처리 가능할까요?

급발진 의심 사고, 모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까요. 어느 날 갑자기 차량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어버리는 '급발진' 의심 사고는 운전자들에게 가장 두려운 악몽 중 하나입니다. 차량 결함에 의한 것인지, 운전자의 조작 미숙인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매번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곤 합니다...

#급발진#교통사고#자동차보험#손해배상#민사소송#형사책임#차량결함#사고대응#법률상담#운전자권리
자문·2025년 08월 28일

고려아연-영풍 의결권 제한 논란: 상호주 규정 쟁점 분석

고려아연 주주총회 의결권 제한 논란, 핵심 쟁점은. 최근 고려아연 주주총회에서 영풍 및 MBK 측의 의결권 행사를 제한한 이슈가 세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는 국내 굴지의 대형 로펌들이 치열한 법적 공방을 벌이고 있는 복잡한 사안으로, 저 역시 관련 질문을 받아 이번 기회에 주요 쟁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고려아연#영풍#주주총회#의결권 제한#상호주#상법 369조#지배구조#SMC#손자회사#유한회사
자문·2025년 08월 28일

헌법재판 제도에 대하여

헌법, 우리 삶에 깊숙이 스며든 법치주의의 초석 대한민국 법치주의의 근간인 헌법은 우리 사회 모든 법률과 공권력 행사의 최종적인 기준이 됩니다. 고위 공직자부터 평범한 시민에 이르기까지, 법률이 헌법에 위배될 가능성이 제기될 때마다 헌법재판소는 그 정의로운 저울을 들이밀고 심판대에 오릅니다. 때로는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하며, 복잡해 보이는 그 절차는 사실 우리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 즉 기본권을 지키는 중요한 방어막이 됩니다...

#헌법재판#위헌법률심판#헌법소원#기본권 침해#법률해석#법치주의#공직선거법#헌법재판소법
이전1...34567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