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가해자 재판, 꼭 가야 하나요?" 변호사가 알려주는 '피해자 진술권'의 모든 것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반드시 참석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형사재판 절차에서 피해자의 참석 의무에 대해 궁금해하십니다. 하지만 형사재판의 구조를 이해하면 그 이유를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형사재판의 기본 구조: '국가' vs '피고인'
형사재판이란 국가가 범죄를 저지른 피고인에게 형벌권을 행사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재판의 당사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검사: 국가와 공익을 대변하여 피고인에게 공소를 제기하는 주체
피고인: 검사가 제기한 공소에 대해 방어하는 주체
이처럼 검사와 피고인이 당사자가 되어 중립적인 법관 앞에서 재판을 진행하게 됩니다. 즉, 피해자는 형사재판의 직접적인 당사자가 아닙니다. 과거에는 피해자가 증인으로 채택되어 법원의 소환을 받을 때에만 법정에서 진술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과거 제도의 한계와 '피해자 진술권'의 도입
이러한 구조는 사건의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인 피해자가 재판 과정에서 소외된다는 심각한 비판을 낳았습니다. 피해자의 목소리가 재판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던 것입니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07년 형사소송법이 개정되면서 피해자의 '진술권'이 법적으로 보장되기 시작했습니다.
피해자의 목소리를 법정에 전하는 방법: 피해자 진술권
피해자 진술권은 헌법 제27조 제5항에 근거를 둔 중요한 권리입니다. 형사소송법 제294조의2는 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권리의 내용: 피해자가 재판 과정에서 피해의 정도 및 결과, 피고인 처벌에 대한 의견 등을 직접 진술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신청 방법: 피해자가 법원에 진술을 신청하면, 법원은 원칙적으로 피해자를 증인으로 신문해야 합니다.
진술 방식: 정식 증인신문 절차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상세히 진술하거나, 증인신문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도 의견을 개진할 수 있습니다.
이제 피해자는 더 이상 방관자가 아닙니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여 재판 과정에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기 블로그
- 약식명령 정식재판 청구, 벌금 가납은 필수? 법률 지식과 유의사항
- 1대1 카톡·문자 욕설은 범죄? 변호사가 알려드립니다
- 단순한 '클릭'이 범죄로? 매크로 사용의 법적 위험성
- 부모님과 거주 시 양도소득세, '세대 분리'의 진짜 의미와 절세 전략
- 소송 중 상대방 파산 선고 후 파산폐지 시 대응 전략 알아보기
- 주 5일 미만 근무자 주휴수당, 이제 다르게 계산해야 합니다: 대법원 판결 심층 분석
- 압수수색 도중 발견된 다른 사건의 증거로 처벌될 수 있을까?
- 재판연구원 경력이 소송에 미치는 영향: 재판부 시각으로 사건 분석
- 억울한 상황 속 한 줄기 빛, '대화 녹음' 증거 활용의 모든 것
- 악성 댓글 고소, 변호사가 알려주는 법적 대응 4단계와 핵심 성공 요건
